본문 바로가기
독후감/2018_독후감

[2018-067] 모두 거짓말을 한다

by 반란을_꿈꾸며 2018. 9. 28.

제목 : 모두 거짓말을 한다

작가 : 세스 스티븐스 다비도위츠

번역 : 이영래

출판사 : 더퀘스트

읽은날 : 2018/09/18 - 2018/09/25

분류 : 일반


재미있는 책을 읽었다. 구글 트렌드를 이용하여 사람들의 성향을 파악하는 새로운 기법.

구글트렌드의 장점은 빅데이터라기보다는 솔직한 마음을 표현한다는데 있다는데 동감한다.

사실 자신의 솔직한 감정을 설문조사에 알려주는 게 생각보다 어렵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사전 개표에 오류가 많은 이유이기도 하다.

또 하나 배워야 할 점은 데이터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사전정보와 데이터에서 이야기하는 정보를 균형감있게 이용해야 한다. 

자칫 자신의 생각에 데이터를 구겨넣는 오류를 범하기 쉽다.

데이터 해석이라는게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인 경우도 많고, 단순히 스케일을 변경하여 그래프로 그렸을 뿐인데 전혀 다른 해석이 되는 경우도 많다. 

책에 나오는 수많은 예시는 이 시대를 사는 평범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읽어보면서 끄덕거릴 것 같다. 

읽을 때 즐겁고 재미있는 책은 내 삶을 풍성하게 한다. 며칠 그랬다..


P35 구글 검색이 그토록 귀중한 가장  이유는 데이터가 많기 때문이 아니라 사람들이 솔직한 생각을 내놓기 때문이다 

P50 좋은 데이터 과학의 방법론은 직관적이지만 결과는 직관에 반할 때가 많다 

P81 구글이 검색분야에서 지배적인 위치에 오를  있었던 이유가 단순히 경쟁자들보다 많은 데이터를 수집했기 때문이 아니라는 점이다그들은  나은 유형의 데이터를 찾음으로써 검색분야의 지배자가 됐다 

P116  경제학자는  개의 신문이 동성결혼을 다른 방식으로 묘사한 것을 보고 언어를 사용해서 정치적 편향성을 알아낼  있을지 의문을 가졌다 

P156 인터넷 데이터는 오바마와 우리 모두가 생각하듯 그의 연설이 성난 민심을 달래기보다는 오히려 격앙시켰다고 말한다이처럼 효과있을 것이라 생각한 것이 역효과를   있다 

P166 스톰프론트 회원 상당수가 뉴욕타임스닷컴에서 뉴스를 본다면백인 민족주의에 대해서 우리가 갖는 통념은 틀린 것일까? 

P172 내 추측은 이렇다감소한 것은 아동학대 신고지아동학대 자체가 아니다 

P178 인터넷 콘텐츠 대부분은 포르노와 거리가 멀다예를 들어 방문자가 가장 많은 10 사이트 중에 포르토 사이트는  군데도 없다포르노의 인기가 엄청나기는 하지만 이를 과대평가해서는 안된다 

P178  글을 쓰고 있는 시점에서 사상 최고의 인기를 누리고 있는 비디오는 싸이의 <강남스타일>이다유행을 좋는 한국인을 풍자하는 특이한 대중 뮤직비디오다 

P183 사람들은 타인의 사생활에 대한 존중책임진지함에 관해 목소리를 높이면서도다른 사람 외모를 평가하는  관심이 크다는 점이다 

P188 당신의 구글 검색을 타인의 소셜미디어 포스팅과 비교하지 말라 

P252 스크린 뒤편에는 당신의 자기관리능력을 허물어 뜨리려는 전문가 1000명이 있다 

P267 인간의 삶은    뿐이다우리가 내린 결정  어떤 것이 좋고 어떤 것이 나쁜지 결정할  없는 이유는 주어진 상황에서  가지 결정밖에   없기 때문이다우리에게는 여러가지 결정을 비교할  있는  번째 번째 번째 삶이 없다 

P270 연구자들은 스타이 학생들이 다른 학생들보다 인생들에서  많은 성과를 올리는 이유는 좋은 학생이 스타이버선트에 입학하기 때문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P286  과학자들은 IQ 예견하게는 유전적 변이를 발견했다고 발표한다이후 과학자들은 새로운 데이터를 얻고 처음의 주장을 틀렸음을 발견한다 

P290 숫자는 유혹적이다점차 수에 집착하면서  중요한 고려사항을 놓칠  있다 

P301 빅데이터를 통해 기업은 고객이 기꺼이 지불하는 금액에 관해 훨씬     있고따라서 특정집단에 바가지를 씌울  있다 

P307 자살 예방 광고와 누군가를 강제로 정신병원에 집어넣는  사이에는  윤리적 격차가 있다 



'독후감 > 2018_독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069] 잠자는 거인을 깨운다  (0) 2018.10.22
[2018-068] 콘텐츠의 미래  (0) 2018.10.22
[2018-066] 베어타운  (0) 2018.09.20
[2018-065] 빨강머리 N  (0) 2018.09.17
[2018-064] 강원국의 글쓰기  (0) 2018.0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