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관계의 미술사
작가 : 서배스찬 스미
출판사 : 앵글북스
읽은날 : 2021/11/08 - 2021/12/04
좋은 책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나에겐 너무 어렵고 잘 안맞았다.
같은 시대의 라이벌일 수도 있고, 친구일 수도 있는 2명의 예술가를 묶어서 전기를 쓴 것 같다.
그런데 잘 넘어가지 않았다.
아마도 내가 미술에 대해 너무 모르기 때문인 것 같다.
이렇게 긴시간동안 읽을 분량은 아닌것 같은데 이상하게 책이 잘 안넘어갔다.
그나마 처음에 나오는 모네와 드가, 피카소와 마티스는 좀 읽으만 했는데 폴락으로 넘어가면서부터는 전혀 모르는 내용이라 머릿속에 하나도 들어오지 않았다.
미술에 관심많은 사람들은 재미있을 것 같다.
역시 미술은 어렵다.
p37 당시 마네는 완전히 새로운 욕망과 생동감을 드러내는 동시에, 도발적으로 아이러니한 면모를 띠었으며 장난스럽게 짜 맞추는 방식을 보이곤 했다
p40 인상파 그룹에 속한 예술가들은 대부분 조혼을 피했고, 나중에 결국 결혼한다 해도 대개는 상대가 몇 년간 관계를 지속해온 정부였으며 둘 사이에 아이가 생긴 뒤였다
p41 마네가 점차 자연스러움과 자유스러움의 외양을 어떻게든 획득하려는 것처럼 보였다면-그는 자기 그림에서 위트가 번뜩이는 간결성이 드러나길 원했다- 드가는 아버지의 영향 때문인지 몰라도 자신이 하고 있는 일에 진지해지기 위해 장애물을 극복하고 있다는 느낌이 필요했던 것 같다
p44 마네는 동료 예술가들의 성공을 시기하는 사람이 아니다. 친구인 앙리 팡탱라투르에 따르면 마네는 "자신이 좋아하는 사람들의 그림을 언제가 긍정적으로 보았다"
p92 이 충격적인 사건은 피카소를 바닥으로 내리꽂았다. 사건의 여운은 피카소의 머릿속을 떠나지 않았고, 그로부터 얼마 안 있어 제르멘느와 연인이 되면서 그 증세는 더욱 악화되었다. 파리에 온 피카소는 카사헤마스의 침대에서 제르멘느와 잠을 자고, 카사헤마스가 사용했던 작업실에서 그림을 그렸다
p96 결과적으로 봤을 때, 거트루드의 초상화에 그토록 많은 시간을 쏟은 것이 피카소로서는 절묘한 선택이었다. 거트루드는 후에 피카소의가장 막강한 후원자 중 하나가 되기 때문이다
p131 오늘날 우리는 피카소 최고의 걸작으로 꼽히는 아비뇽의 처녀들에서 느껴지는 불편한 느낌에 익숙해 있다. 그림이 전하는 불협화음은 우리를 더이상 놀라게 하지 않는다
p136 그 아프리카 미술을 피카소에게 소개해준 사람이 다름 아닌 자신이었으니 말이다. 마티스는 자신이 발견했던 것을 피카소가 이렇게 노골적으로 자기 작품에 끌어다 쓸 거라곤 조금도 예상하지 못했다
p152 드쿠닝의 어두운 어린 시절과 그 후 돌연 미국으로 떠난 이야기는 미국의 소설가 필립 로스가 언젠가 언급했던 "미국 역사의 기본토대를 이루는 드라마틱한 이야기"와 비슷하다
p172 "저는 지금 이 그림을 어떻게 봐야 할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여태 미국에 와서 본 작품 중 가장 흥미로운 그림이에요. 이사람을 주목해야 합니다"
p174 감미롭지만 정신을 흐트리는 사교계로 플록을 끌어들인 구겐하임은 그를 유혹하고 나섰다.(구겐하임은 상대를 가리지 않고 육체적 욕구를 푸는 것으로 악명높았다.) 결과는 어색한 원나잇 스탠드로 끝났고 플록은 또 한바탕 미친 듯이 술을 퍼마시게 되었다
p183 드쿠닝은 전통적 틀을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직접적이고 건강하며 심지어 격정적인 감정도 표현할 수 있는 하나의 회화 양식을 제시해주었다
p191 플록은 자신에게 찾아온 성공과 그에 따른 엄청난 변화에 도취되었다기보다는 오히려 정신적 혼돈에 휩싸여 있었다
'독후감 > 2021_독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119] 오늘부터 클래식 (0) | 2021.12.20 |
---|---|
[2021-118] 난처한 클래식수업6 (0) | 2021.12.08 |
[2021-116] 국가로 듣는 세계사 (0) | 2021.12.07 |
[2021-115] 아무튼 클래식 (0) | 2021.11.29 |
[2021-114] 고개를 끄덕이는 것만으로도 위로가 되니까 (0) | 2021.11.19 |